힘든 장이 계속 되고 있습니다...
이전 지지선이었다고 생각하는 41~42K 부분을 돌파할 때까지는 단타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려고 합니다.

빗썸이 이전 클레이튼을 상장시키더니, 바이낸스코인 BNB도 상장시켰습니다.
바이낸스가 빗썸을 인수하는 것이 아니냐 하는 썰이 돌고 있지만, 빗썸은 넥슨이며 후오비며 이전부터 찌라시로만 끝나는 경우가 많았기에 너무 기대는 안하는게 낫습니다.
하지만 이번 BNB 상장은 디파이코인들의 상장 초석이 되지 않을까도 싶습니다.
BNB를 시작으로 BSN에 포함되는 프로젝트들의 상장이 이어지고 디파이로의 자금유입을 이끌 수 있을지,
아니면 디파이코인들의 설겆이로 끝날지...
이는 클레이튼 생태계에서도 보이는 모습입니다.
최근 클레이스왑에서도 BNB와 같은 모회사인 오지스의 BSC 대표 코인 Belt를 유입시켰고
이어서 Autofarm을 추가시켰습니다.

Klaytn과 BSC를 연결시키면서 Pool의 다양화 및 TVL 성장을 통해 생태계를 안정시킬 수도 있겠지만
반대로 여차하면 BSC 로 자금이 빠르게 빠져날 수도 있다고 봅니다.
비트코인의 하락과 함께 코인들의 가치 하락으로 BSC 디파이 전체 TVL이 많이 빠진 상태입니다.

아직은 자금의 유입이 없고 쉽게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BNB의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자금을 유치할 방편을 찾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시장이 불안정하다보니 해킹, 플래시론 공격 등 여러 문제들이 나오고 있고
신뢰를 회복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만
한가지 긍정적으로 볼 것은 각 생태계에 대한 crosschain이 점차 활성화 될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Klaytn과 Belt가 반토막이 났지만.. 체인링크도 폭락했지만,,,
디파이시장이 안정화되면 (당장은 어렵겠지만) 이더리움 생태계와 클레이튼, BSC, 솔라나, 폴카닷 등 각 생태계를 이어주는 크로스체인 관련이 주목을 받을 수 있다고도 보고, 올해안에 될지 모르겠지만 ETH2를 비롯한 Layer2 에도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중국, 미국을 비롯해 각국의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가 이어지고 있고,
이번에 특검법 시행령을 개정해 거래소 코인을 금지하겠다고 정부가 발표하네요...
업비트, 빗썸 등의 코인이 나와 바이낸스의 흐름을 이어가지 않을까 기대했던 것은 접어야 할 것 같습니다.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3926
정부 "가상자산, 주관부처 금융위"..."거래소코인 금지" - 코인데스크코리아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는 금융위원회, 블록체인 기술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맡는다. 정부는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차관 회의를 열고 ‘가상자산 거
www.coindeskkorea.com
시대의 흐름에 뒤쳐져 계속 규제만 하려고 드는지 갑갑하지만
아직도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는 이어나갈 생각입니다.
'비트코인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가오는 메타버스와 NFT(대체불가능 토큰) 기술. NFT 관련 스크랩 (2) | 2021.06.02 |
---|---|
가상자산 거래 관리 강화, 특금법 개정안 (0) | 2021.05.30 |
클레이스왑 Belt.fi(BSC) 지원 개시 (0) | 2021.05.21 |
디파이의 악재들 알고 투자하자 feat. 팬케이크버니 플래시론 (0) | 2021.05.20 |
FATF(자금세탁방지기구) 디파이 규제 예정? 디파이는 끝일까? (2) | 2021.05.16 |